돈 정보6 내년에도 '슬로우플레이션(Slowflation)' 지속 저성장+고물가 이유 우리나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점차 둔화되고 있지만, 경제 성장세 둔화(저성장)와 고물가가 맞물리는 '슬로우 플레이션(Slowflation)' 현상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그럼 '슬로우플레이션(Slowflation)'이란 무엇일까요? 슬로우플레이션은 슬로(slow)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경기 회보 속도가 더딘 가운데 소비자 물가가 치솟는 현상입니다. 슬로우플레이션은 경제 불황 속에서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태인 스테그플레이션(stagflation)보다는 경기 침체 강도가 덜 심각하지만 경제 전반에 상당한 충격이 뒤따른다고 합니다. 유가 급등과 인플레이션 심화로 글로벌 경제가 슬로우플레이션에 빠졌다는 진단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등은 2021.. 2022. 12. 19. 2023년 최저임금 최저시급 얼마일까? 우선, 시급을 알아보기 전 최저임금제라는 정의와 목적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최저임금제란? 국가가 노·사 간의 임금 결정 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임. 최저임금제도 목적 최저임금제도는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꾀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함(최저임금법 제1조) 최저임금제도의 실시로 최저임금액 미만의 임금을 받고 있는 근로자의 임금이 최저임금액 이상 수준으로 인상되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옴. 1. 저임금 해소로 임금격차가 완화되고 소득분배 개선에 기여 2. 근로자에게 일정한 수준 이상의 생계를 보장해 .. 2022. 11. 29. 이전 1 2 다음